잠 못 드는 밤, 혹시 나도 불면장애일까?
누구나 한 번쯤은 스트레스나 걱정거리로 잠 못 이루는 밤을 경험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수면 문제가 일시적인 현상을 넘어 장기간 지속되고, 낮 동안의 활동에까지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면 치료가 필요한 질병, 즉 ‘불면장애(Insomnia Disorder)’를 의심해 봐야 합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은 불면장애를 진단할 때,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5)의 기준을 사용합니다.
이 글에서는 DSM-5의 불면장애 진단기준을 통해, 나의 수면 문제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 객관적으로 점검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A. 수면의 양 또는 질에 대한 불만족
가장 핵심적인 기준으로, 잠에 대한 주관적인 불만족이 있어야 합니다. 이는 다음 세 가지 유형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해야 합니다.
- 입면 곤란 (Initial insomnia): 잠자리에 누워 잠들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경우. (예: 30분 이상 뒤척임)
- 수면 유지 곤란 (Middle insomnia): 잠드는 것은 어렵지 않으나, 밤중에 자주 깨고 다시 잠들기 어려운 경우.
- 조기 각성 (Late insomnia): 원래 일어나려던 시간보다 훨씬 일찍 깨서, 다시는 잠들지 못하는 경우.
이 세 가지 유형은 함께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겨우 잠들었다가 새벽에 깨서 그대로 아침을 맞는 경우가 해당됩니다.
B. 사회적, 직업적, 교육적 기능의 현저한 저하
밤에 잠을 못 자는 것만으로는 불면장애로 진단하지 않습니다. 수면 문제로 인해 낮 동안의 일상생활에 심각한 어려움이 동반되어야 합니다. 다음 중 하나 이상의 증상이 나타나야 합니다.
- 피로감 또는 전신 쇠약감
- 주의력, 집중력, 기억력 저하
- 학업, 직업, 사회적 기능의 손상
- 기분 장애 또는 과민성 (짜증이 늘고 예민해짐)
- 낮 동안의 졸음
- 행동 문제 (과잉행동, 충동성, 공격성)
- 의욕, 활력, 자발성의 저하
- 업무나 운전 중 실수 또는 사고 위험 증가
- 수면에 대한 걱정과 비합리적인 생각
밤의 문제 (A기준) | 낮의 문제 (B기준) |
---|---|
– 잠들기 어려움 – 자주 깸 – 너무 일찍 깸 | – 피로감, 집중력 저하 – 기분 변화, 의욕 상실 – 낮 동안의 기능 손상 |
C. 수면 곤란의 빈도
어쩌다 한 번 잠을 설치는 것은 불면장애가 아닙니다. 진단기준에 따르면, 이러한 수면 문제가 최소 주 3회 이상 발생해야 합니다.
D. 수면 곤란의 기간
수면 문제가 얼마나 오래되었는지도 중요한 기준입니다. 이러한 수면 곤란이 최소 3개월 이상 지속되었을 때, 만성 불면장애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3개월 미만이지만 다른 기준을 모두 충족할 경우, 단기 불면장애로 진단합니다.
진단기준 | 내용 |
---|---|
A. 수면 불만족 | 입면, 수면 유지, 조기 각성 중 1가지 이상 |
B. 낮 동안의 기능 저하 | 피로, 집중력 저하 등 일상생활의 어려움 |
C. 빈도 | 주 3회 이상 |
D. 기간 | 3개월 이상 지속 |
E, F, G. 다른 원인 배제
마지막으로, 이러한 불면 증상이 다른 요인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아야 합니다.
- (E) 충분한 수면 기회: 잠을 잘 수 있는 적절한 환경과 기회가 주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불면을 호소해야 합니다. (예: 너무 시끄럽거나, 밝거나, 잠잘 시간이 부족한 경우는 제외)
- (F) 다른 수면-각성 장애 배제: 기면증, 수면무호흡증, 하지불안증후군 등 다른 수면장애로 인한 불면이 아니어야 합니다.
- (G) 약물이나 다른 질환의 영향 배제: 특정 약물(각성제 등)의 부작용이나, 다른 정신질환(우울증, 불안장애), 신체 질환(만성 통증 등)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인한 불면이 아니어야 합니다.
자가 체크 후, 어떻게 해야 할까?
위의 진단기준(A, B, C, D)에 대부분 해당된다고 생각된다면, 당신은 단순한 불면증을 넘어 치료가 필요한 ‘불면장애’를 겪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불면장애는 의지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뇌 기능의 문제입니다. 방치할 경우 우울증, 불안장애 등 다른 정신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고, 고혈압, 당뇨 등 신체 질환의 위험도 높일 수 있습니다.
잠 문제로 인해 낮 동안의 삶이 무너지고 있다면, 더 이상 혼자 고민하지 말고 수면 클리닉이나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하여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