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변 볼 때 따끔거림? 분비물? 요도염, 남녀별 증상과 조기 발견의 중요성을 알려드립니다.

소변을 볼 때 느껴지는 불편함, 평소와 다른 분비물, 혹은 알 수 없는 통증. 이러한 증상들은 요도염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요도염은 요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남녀 모두에게 발생할 수 있지만 증상의 양상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성병성 요도염의 경우,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증상을 정확히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남성과 여성에게 나타나는 요도염의 주요 증상들을 상세히 비교하고, 비임균성 요도염과 임균성 요도염의 특징적인 증상, 그리고 증상이 없더라도 의심해야 할 상황까지 요도염의 모든 증상을 총정리해 드립니다. 내 몸이 보내는 신호를 놓치지 않고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을 함께 시작해 보세요.

요도염 증상 여자, 남자
요도염 증상 여자, 남자

요도염, 왜 생길까요? (간략한 원인)

요도염은 요도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합니다. 크게 성관계로 전파되는 성병성 요도염과 성관계와 무관하게 발생하는 비성병성 요도염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성병성 요도염의 주요 원인균은 임질균(Neisseria gonorrhoeae)과 클라미디아(Chlamydia trachomatis)이며, 비성병성 요도염은 대장균 등 일반 세균이나 바이러스, 또는 물리적 자극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인균에 따라 증상의 발현 시기나 양상에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공통적으로 요도에 염증이 생기면서 다양한 불편감을 유발합니다.

남성 요도염의 주요 증상: 눈에 띄는 분비물과 배뇨통

남성의 요도염은 여성에 비해 증상이 비교적 명확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조기에 인지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경미하거나 없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1. 요도 분비물
가장 흔하고 특징적인 증상입니다. 아침에 잠에서 깨어났을 때 속옷에 묻어 있거나, 소변을 보기 전 요도 끝에서 분비물이 나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 임균성 요도염: 노랗거나 황록색을 띠는 고름 같은 분비물이 다량으로 나옵니다. 냄새가 나고 끈적이며, 속옷에 묻으면 딱딱하게 굳는 특징이 있습니다. 증상이 매우 급성으로 나타나며, 배뇨통이 심하게 동반됩니다.
  • 비임균성 요도염: 투명하거나 하얀색을 띠는 점액성 분비물이 소량 나옵니다. 임균성 요도염에 비해 양이 적고 묽으며, 아침에만 살짝 묻어 나오는 경우가 많아 대수롭지 않게 여길 수 있습니다.

2. 배뇨통
소변을 볼 때 요도가 화끈거리거나 따끔거리는 통증이 나타납니다. 요도 끝 부분이 아프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임균성 요도염의 경우 통증이 매우 심하여 소변 보기가 두려울 정도일 수 있습니다.

3. 요도 가려움증 및 불편감
요도 끝이 간질간질하거나 찌릿한 느낌, 혹은 불쾌한 이물감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특히 소변을 보지 않을 때도 이러한 불편감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4. 기타 증상

  • 빈뇨: 소변을 자주 보고 싶어지는 증상.
  • 잔뇨감: 소변을 보고 나서도 시원하지 않고 남아있는 느낌.
  • 고환 통증 및 부종: 요도염이 부고환염으로 진행될 경우 고환이 붓고 통증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증상임균성 요도염비임균성 요도염
분비물노랗거나 황록색의 고름, 다량, 끈적임투명하거나 흰색의 점액, 소량, 묽음
배뇨통매우 심함, 소변 보기 두려움따끔거림, 화끈거림 (임균성보다 덜 심함)
발현 시기감염 후 2~7일 이내 (급성)감염 후 1~3주 (비교적 서서히)

여성 요도염의 주요 증상: 방광염과 헷갈리기 쉬운 증상

여성의 요도염은 남성에 비해 증상이 비특이적이고, 방광염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혼동하기 쉽습니다. 또한, 증상이 경미하거나 아예 없는 경우도 많아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흔합니다.

1. 배뇨통
소변을 볼 때 요도가 따끔거리거나 쓰라린 통증이 나타납니다. 남성처럼 요도 끝에 국한되기보다는, 소변이 나오는 길 전체가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2. 빈뇨 및 잔뇨감
소변을 자주 보고 싶고, 소변을 보고 나서도 시원하지 않고 남아있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이는 방광염의 주요 증상과 매우 유사하여 혼동하기 쉽습니다.

3. 질 분비물 변화
요도염이 질염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평소와 다른 질 분비물(색깔, 냄새, 양의 변화)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려움증이나 외음부 불편감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4. 하복부 통증
아랫배에 불편감이나 통증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염증이 방광이나 주변 장기로 퍼지는 경우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성교통
성관계 시 통증을 느끼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요도 주변의 염증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여성 요도염방광염 (참고)
배뇨통소변 볼 때 요도가 따끔거림, 쓰라림소변 끝에 찌릿한 통증, 하복부 통증 동반
빈뇨/잔뇨감자주 소변 보고 싶고, 시원하지 않음매우 심한 빈뇨, 소변 참기 어려움
분비물질 분비물 변화 동반 가능성 높음일반적으로 분비물 없음
발열/오한드물게 나타남신우신염으로 진행 시 나타날 수 있음

증상이 없어도 의심해야 할 때: 무증상 요도염

가장 위험한 경우는 바로 증상이 전혀 없는 무증상 요도염입니다. 특히 클라미디아 감염에 의한 요도염은 남성의 약 50%, 여성의 약 70%에서 증상이 없거나 매우 경미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증상이 없다고 해서 병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무증상 요도염은 다음과 같은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성 파트너에게 전파: 자신은 증상이 없더라도 성관계를 통해 파트너에게 균을 전파할 수 있습니다.
  • 합병증 발생: 남성의 경우 부고환염, 전립선염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여성의 경우 골반염, 난관염, 불임, 자궁외 임신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임산부의 경우 조산이나 신생아 감염의 위험도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증상이 없더라도 요도염 검사를 고려해야 합니다.

  • 성 파트너가 요도염 또는 성병 진단을 받은 경우
  • 새로운 성 파트너와 성관계를 시작하기 전
  • 불특정 다수와 성관계를 가졌거나, 콘돔을 사용하지 않은 성관계 경험이 있는 경우

요도염 증상, 언제 병원에 가야 할까요?

위에서 언급된 증상 중 하나라도 나타난다면, 지체하지 말고 비뇨의학과(남성) 또는 산부인과/비뇨의학과(여성)를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 요도 분비물이 노랗거나 고름처럼 나올 때
  • 소변 볼 때 통증이 매우 심할 때
  • 고환이 붓고 아플 때 (남성)
  • 발열, 오한, 허리 통증 등 전신 증상이 동반될 때
  • 성 파트너가 성병 진단을 받았을 때

요도염은 조기에 진단하고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 완치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치료 시기를 놓치거나 불완전하게 치료하면 만성 요도염으로 진행되거나, 불임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요도염 증상에 대한 궁금증 Q&A

요도염 증상과 관련하여 자주 묻는 질문들을 모았습니다.

질문 (Q)답변 (A)
요도염은 성병인가요?모든 요도염이 성병은 아닙니다. 하지만 임질균이나 클라미디아균에 의한 요도염은 성관계를 통해 전파되므로 성병으로 분류됩니다. 비성병성 요도염은 성관계와 무관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저절로 좋아지기도 하나요?일부 비임균성 요도염의 경우 증상이 저절로 호전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균이 완전히 사라진 것이 아니라 잠복 상태로 전환된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만성 요도염이나 합병증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증상이 호전되더라도 반드시 병원에서 완치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요도염에 걸리면 소변 색깔이 변하나요?요도염 자체로 소변 색깔이 크게 변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하지만 염증이 심해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거나, 농뇨(고름 섞인 소변)가 심할 경우 소변이 탁해 보이거나 붉은색을 띨 수 있습니다. 이는 심각한 증상이므로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요도염은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면 완치될 수 있는 질환입니다. 자신의 몸이 보내는 작은 신호에도 귀 기울이고, 의심되는 증상이 있다면 주저하지 말고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건강한 성생활과 위생 관리는 요도염 예방의 가장 중요한 방법입니다.

Similar Posts